
안녕하세요.
광혜병원 스포츠 의학 센터입니다.
고관절 병변 증상의 원인과 관련된 진단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골관절염과 류마티스 관절염을 고관절의 대표 변병으로 들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골관절염(퇴행성 관절 질환)은 고관절의 퇴행성관절 질환으로
일반적으로 노화, 사고, 질병, 외상의 결과로 발생됩니다.
고관절 가장자리에 골증식체가 형성되거나 관절의 섬유화,
고관절 연골의 퇴행성 변성을 보입니다.
주로 체중부하를 심하게 받게 되어 호발됩니다.

류마티스성 관절염은 무혈성 골괴사와 같은 병리학적 병변과
선천성 고관절 기형에 의해 발생됩니다.
어깨에 비해 고관절엔 탈구가 잘 일어나지 않지만,
탈구로 인한 관절기능 부전증도 고관절에 퇴행성 변화를 초래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골절이나 외과적 수술 후, 회복을 위한 고관절의 고정이나
비활성화는 고관절낭 조직에 단축을 야기시킬 수 있습니다.
고관절 병변으로 인해 서혜부와 요추3번 피절에 따른
대퇴전면부와 무릎에 나타나는 관련통이 있습니다.

오랜 침상 안정에 따라 관절이 구축되어 나타납니다.
단단한 관절낭에 끝 느낌을 동반한 관절의 제한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초기에는 고관절 내회전 제한으로 시작하여
차츰 고관절 내전상태에서 고관절 굴곡제한 상태가 됩니다.
일반적으로 중둔근으로 보상하는 동통성 절뚝 보행이 나타납니다.
고관절 신전의 제한으로 요추에 신전력이 가중되어 요통이 발생합니다.
고관절 신전의 제한은 기립, 보행시 충분한 슬관절 신전을 저해해 무릎에 스트레스를 주게 됩니다.
불량한 균형과 자세 조절이 나타납니다.
계단오르기나 옷 입기, 웅크리고 앉기 등의 기능적인 활동이 어렵게 됩니다.
중둔근의 보상보행으로 인해 외전근의 절뚝거림이 나타나게 됩니다.

통증없는 고관절, 체중부하와 보행에 적합한 고관절의 안정성,
기능적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고관절의 적절한 가동범위와 근력의 획득이 필요합니다.
이동이나 체중부하 시 고관절의 심한 통증에는 고관절 가동성의 심한 제한이 따릅니다.
효율적인 보행에 가장 요구되는 고관절 신전근과 외전근의 근력을 증가시키도록 합니다.
고정용 자전거 타기를 시작할 때는 과도한 고관절 굴곡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전거 좌석을 가능한 한 높이도록 합니다.
하지에 강한 회전력을 유발시키는 점핑과 같은 오락활동을 삼가토록 합니다.
둔근 등척성 운동과 하지 직거상 운동 실시합니다.
원인이야 무엇이든 고관절에서의 근력과 유연성의 불균형은 요골반부와
고관절의 역학적 불량을 초래하여 잘못된 자세와 요통, 골반통, 관절통 등을 일으킵니다.
근력과 근유연성의 불균형으로 인한 고관절의 역학적 불량은 체중부하에 따른
슬관절과 발목관절에 영향을 미쳐 이들 관절에 스트레스나 과사용 증후군을 일으키게 됩니다.
스트레칭

-한쪽 무릎은 90도 정도로 접어서 지탱 후 나머지는 뒤로 펴줍니다.
-중심을 잘 잡으면서 엉덩이를 안으로 밀어주세요.

-팔은 어깨넓이로 바닥에 엎드린 자세를 취해주세요.
-무릎은 골반 넓이보다 조금 더 넓게 벌려주세요.
-발은 바깥쪽으로 보내주고 상체를 뒤쪽으로 이동시켜주세요.
광혜병원 지하 1층 스포츠의학센터
스포츠의학센터는 예약제로 이루어집니다.
상담 및 예약은 02 538 9780 으로 전화주세요.

[위치]
삼성역 2번 출구 근처
광혜병원 B1 스포츠의학센터
'척추건강정보 > 기타관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혜병원 스포츠의학센터] 대퇴슬개 증후군 (0) | 2025.03.20 |
---|---|
[광혜병원 스포츠의학센터] 발목불안정증 (1) | 2024.12.28 |
[광혜병원 스포츠의학센터] 손목터널증후군 (1) | 2024.12.10 |
[광혜병원 스포츠의학센터] 퇴행성관절염 (0) | 2024.06.26 |
[광혜병원 스포츠의학센터] 추벽증후군 (1) | 2024.05.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