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광혜병원 스포츠의학센터입니다.
긴 하루 일과를 끝내고 저녁이 되면 다리가 저리고
당기면서 찌릿찌릿한 느낌이 있었던 적이 있나요?
다리가 당기고 저린 느낌, 무거운 증상들은 왜 나타는 것 일까요?

하지불안 증후군은 앉아 있거나 누워있을 때 같이 휴식 중
다리에 근질거리는 이상 감각과 초조함이 느껴지고
다리를 움직이고 싶은 충동이 일어나는 질환입니다.
이 증상은 특히 밤에 증상이 심해져 수면 장애까지 초래합니다.
만 21-69세 성인남녀 5천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5.4%가
하지불안 증후군을 갖는 것을 나타났습니다.
주로 낮보다 밤에 그리고 움직이지 않으면 심해지고
움직이면 다시 정상을 돌아오는 것이 특징입니다.

하지불안증후군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도파민이라는 신경 전달 물질이 부족해 나타난다고 추정합니다.
또한 다리에 충분하지 못한 혈액 공급, 말초 신경증과 같은
신경손상, 빈혈, 당뇨병 등 같은 질병이 원이이 될 수 있습니다.

증상으로는 몸통, 손, 다리, 발 등에 표현하기 힘든 불쾌한 감각을 호소합니다.
움직이지 않을 때 불쾌한 감각이 시작되는 것이 보통이고 움직이면 완화 됩니다.
하지불안증후군을 가진 대부분의 사람들이 수면 진입의 문제 등
수면 장애를 보이고 낮 시간에 피로감과 졸린 증상을 보이게 됩니다.
하지불안증후군 연구회에서 제안된 5가지 증상이 모두 나타나면 하지불안증후군으로 진단합니다.
1. 다리를 움직이고 싶은 강한 충동이 듭니다.
이러한 충동은 종종 다리의 불쾌한 느낌과 함께 찾아오지만, 항상 그렇진 않습니다.
심한 경우에는 팔을 움직이고 싶은 충동도 같이 느끼게 됩니다.
2. 움직이지 않을 때 증상이 더 심해집니다.
앉거나 누운 자세가 지속되거나, 휴식을 취할 때 움직이고 싶은 충동이 증가합니다.
3. 움직임으로써 증상이 완화합니다.
걷기와 같은 움직임은 불쾌한 느낌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을 줍니다.
4. 증상은 저녁이나 밤에 시작되거나 더 나빠집니다.
5. 이러한 증상이 다른 내과적 행동 이상으로만 설명되지 않아야 합니다.
이러한 증상들을 완화시키는 방법으로는 잠들기 전,
일상생활 중 틈틈히 스트레칭을 하며, 일주일에 2_3회 온욕 및
허벅지 마사지 등의 자기 관리를 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증상이 자주 나타나고 수면에 방해가 되는 경우
수면 전문의의 진단을 받고전문적인 치료를 받는 것이 권장됩니다.
이때 철분이 부족한 경우 전문 치료제로 철분제를 투여하여 보충해야 합니다.
스트레칭
1. 햄스트링 스트레칭

1. 하늘을 보고 누워줍니다.
2. 한쪽 다리를 하늘로 들어 허벅지 뒤쪽을 감싸줍니다.
3. 천천히 호흡을 내쉬면서 다리를 몸통쪽으로 당겨줍니다.
4. 5~10초 정도 유지해주고 반대도 똑같이 스트레칭해줍니다.
* 너무 무리하게 당기지 마세요.
2. 이상근 스트레칭

1. 천장을 바라보고 누워줍니다.
2. 한쪽 다리를 들어 반대쪽 무릎에 ㄱ자로 올려둡니다.
3. 다리를 접어 무릎을 가슴 쪽으로 당겨줍니다.
(이때 손은 허벅지 뒤나 앞 정강이를 잡아 당겨줍니다.)
* 꼬리뼈가 바닥에서 뜨지 않을 정도로 진행해줍니다.
광혜병원 지하 1층 스포츠의학센터
스포츠의학센터는 예약제로 이루어집니다.
상담 및 예약은 02 538 9780 으로 전화주세요.

'척추건강정보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혜병원 스포츠의학센터] 당뇨환자분들의 운동 주의할 점 (1) | 2025.04.08 |
---|---|
[광혜병원 스포츠의학센터]운동기능 저하 증후군 (0) | 2025.03.24 |
[광혜병원 스포츠 의학 센터] 틱과 목통증 관리 (0) | 2025.01.18 |
[광혜병원 스포츠의학센터] 엉덩이 기억상실증 (0) | 2025.01.16 |
[광혜병원 스포츠 의학 센터] 전신 진동 운동의 활용 (0) | 2025.01.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