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05

[광혜병원 스포츠의학센터] 강직성 척추염 안녕하세요!!광혜병원 스포츠의학센터입니다:)오늘은 강직성 척추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강직성 척추염은 척추에 강직과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만성염증성 질환입니다.과거에는 남성에게서 주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지만,최근에는 여성 환자의 비율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원인강직성 척추염의 원인은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HSA-B27이라는 유전자와 깊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이 유전적 인자를 가졌다고 해서 반드시 강직성 척추염이 발생하는 것은아니지만 가족 중 강직성 척추염 환자가 있고 HSA-B27이 양성인 경우에발병 빈도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단 10~30%로 높은 편입니다.  증상증상으로는 개인에 따라 다르겠지만 염증이 무증상 기간과 번갈아 가면서 나타날 수 있고 허리의 통증이.. 2024. 6. 10.
[광혜병원 스포츠의학센터] 허리 환자의 자전거 타기 안녕하세요!광혜병원 스포츠의학센터 입니다 :)  허리에 통증이나 디스크와 같은 질환이 있다면자전거 타기는 무조건 하지 말아야 하는 걸까요?오늘은 허리 질환이 있으신 분들이 안전하게자전거를 타실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전거를 타게되면 어떤 점이 좋을까요?유산소운동이 신체 건강을 위해 꼭 필요하단 사실은 모두가 알고 계실텐데요!   조깅과 마라톤과 같은 유산소 운동은무릎이나 발목과 같은 관절에 큰 체중부하를 주지만자전거는 관절에 체중이 많이 실리지 않아관절염이 있는 분들도 무리없이 운동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또한 자전거는 하체운동 뿐만 아니라전신의 근육을 모두 사용하며 칼로리 소모가 큰 운동으로체중감량에도 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자전거 타기는 관절에 무리가 되지 않는 좋은 .. 2024. 6. 7.
[광혜병원스포츠의학센터] 중둔근 안녕하세요.광혜병원 스포츠의학센터입니다. 오늘은 중둔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중둔군은 대둔근보다 골반 옆쪽에 위치한 근육이며, 중둔근은 전방 섬유와 후방 섬유로 나눠져 있습니다.고관절 외측 근육 중 가장 큰 근육입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골반 옆에 붙은 근육으로 골반과 고관절의안정성과 보행 시 엉덩이의 흔들림을 잡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평소 우리의 생활 패턴(짝다리, 다리꼬기, 옆으로 누워자기 등)은 전방 섬유를 활성화하고 후방 섬유가 약해지게 만듭니다.이런 자세들이 중둔군이 약해지게 만들고 허벅지 안쪽 근육들을 타이트하게 만듭니다.그렇게 되면 골반을 잡아주는 안정성이 떨어지게 되면서고관절부터 무릎, 허리까지 부하가 생겨 통증을 느끼게 될 수 있습니다.    운동 및 스트레칭 1. side le.. 2024. 6. 3.
[광혜병원 스포츠의학센터] 추벽증후군 안녕하세요!광혜병원 스포츠의학센터 입니다 :)   오늘은 무릎과 관련된 질환으로추벽증후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이름부터 생소한 추벽은 무릎 관절 안에 위치한 막으로태아 시절 무릎 형성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합니다.추벽은 상부, 하부, 내측, 외측 총 4개로 나뉩니다.       추벽은 무릎관절이 발달하면서 사라지지만대략 20% 정도는 성인 때까지 남아있는 경우가 있습니다.추벽증후군은 추벽이 사라지지 않은 경우 발생합니다. 추벽이 있다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지만무릎을 과도하게 사용하거나 외상을 입은 경우추벽이 딱딱해지고 두꺼워지면서 추벽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추벽증후군은 과격한 운동을 즐기는 젊은 층에게서 많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등산이나 마라톤과 같은 운동을 즐기거나걸.. 2024. 5. 27.